각종 사회적 재난과 자연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안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바, 지난 1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안전관계장관회의에서 대외적으로 엄중한 시기에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속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하라고 한 지시도 같은 맥락에서다. 황 권한대행이 특히 “봄철 가뭄과 산불에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재강조한 점은 해빙기인 봄철에 각종 안전사고가 빈발했음을 주의시키는 경각심인 것이다.

사실 국민의 일상생활에서 자연재난과 인위적 사고는 수없이 반복해 발생돼왔다. 안전사고나 발생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천재지변이라 할지라도 사전 대비시스템이 잘 구축돼 있고, 위험 요소에 대해 정기적인 현장 점검과 문제점 개선이 이뤄진다면 재난을 예방할 수 있고, 설령 사고가 발생한다고 해도 그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겪어온 사고 경험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은 어떤 사고라도 사전 대비책상 허점에서 발생됐다는 점이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지난 18일 발생한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 대형화재는 인재에 가깝다. 정확한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기 계통에 의한 화재일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 분석이 나오고 있다. 수도권 최대어시장인 이 시장은 2010년 이후만 해도 화재발생이 3번째로, 2010년 1월 11일과 2013년 2월 13일 발생했던 당시 화재는 시장 내의 변압기 용량 부족과 과전력 현상이 원인이었다. 그 같은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당국에서는 임시 처방만 해서 같은 원인의 화재사고로 이어진 것은 안전불감증이라 아니할 수 없다.

새벽시간이라 인명 피해가 없었던 것이 다행인데, 총 4개 지구(가∼라)에 걸쳐 비닐 천막으로 된 가건물 형태의 좌판 332개가 설치돼 있었던 소래포구 어시장에는 과거 화재사례에서 보듯 화재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던 곳이다. 이와 같이 사고가 충분히 예견됨에도 시장상인이나 소방당국이 이를 간과해 또 다시 화재가 발생한 것은 안전불감증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최근 5년 사이에 전국 재래시장 화재가 380건이 넘는 현실이다. 정부가 나서서 재난사고 대비책을 지시해도 일선에서 관련자들이 등한시한다면 사고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