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충북 보은군의 한 농가 젖소가 구제역 의심 증세를 보여 역학 조사결과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 후 6일에는 전북 정읍에서, 8일에는 경기 연천에서 구제역이 발생했고, 당초 발생지 보은군의 다른 농가에서 사육하던 한우가 또 다시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는 등 구제역 파동이 일어났다. 가뜩이나 전국에서 발생된 조류독감(AI)으로 닭·오리 등 총 3314만 마리가 살처분되는 와중에서 구제역까지 겹쳤으니 농림축산식품부와 시도 방역기관에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AI에 이어 구제역이 또 다시 발생했으나 그나마 다행인 것은 AI 사태가 끝나가던 시기여서 축산방역당국이 구제역에 대해 신속한 조치가 가능했다는 점이다. 의심 가축에 대해 신속한 신고접수 체계를 갖추는 한편, 전국 확산을 막기 위해 2월 26일까지 구제역 발생 지역 내 소·돼지 이동을 금지하고, 전국 가축시장 86곳도 같은 기간 폐쇄조치를 단행했다. 또 구제역 발병 또는 예방차원에서 보은군 관내 14개 농장의 소 986두를 살처분하는 한편, 구제역 예방용 백신 3200만두분을 올해 도입하는 등 제반 대책을 취했던 것이다.

보은군에서 마지막 구제역 확진 판정 이후 일주일 이상 추가 발생이 없는 상태다. 전문가에 따르면 앞으로 일주일이 고비라 하는 바, 그 이유는 구제역 백신 가운데 O형은 확보가 됐지만 O+A형은 이달 말이나 3월초에야 국내 도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생한 구제역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0년에도 최악의 구제역 파동을 겪은 이후에 전국 축산농가의 사육우에 대해 구제역 백신 접종이 의무화 됐지만 이번에도 백신 수급의 문제가 노출됐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구제역 백신은 영국 메리알사(社)에 제조를 의뢰해 수입하고 있는데 그 비용만 해도 연간 700억원의 국가예산이 쓰인다. 예산도 막대하지만 문제는 백신의 확보 시기다. 이번처럼 지난 8일 구제역이 발생하고 난 후 부랴부랴 메리알사에 재고 확인과 함께 백신을 요청했지만 메리알사에서는 재고 여부조차 제때에 회신하지 않았다. 국내에 생산공장이 없으니 백신 수입이 이처럼 어렵다는 것인데 정부가 뒷북대응이라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더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